J_Adsense


부채 계정과목 정리본


지난 글에서 '자산'관련 계정 과목을 정리 했으니 이번 글에서는 '부채'이다. 부채란 '남에게 빚을 짐'이다. 그마나 부채는 회계 용어 가운데 익숙한 용어 중 하나이다. 물론 좋은 뜻은 아니지만... 그래서일까? 왠지 부채 계정과목에 대한 정리 역시 힘들고 하기 싫었다. 최대한 간단하게 부채 계정과목을 아래와 같이 정리해 본다.



[유동부채(流動負債) : 유동부채(流動負債)]


외상매입금(外上買入金) : 상품 외상매입액에 대한 채무발생액과 채무소멸액
지급어음(支給어음) : 어음상의 채무발생액과 채무소멸액
단기차입금(短期借入金) : 결산일 1년 이내에 지급해야할 채무
미지급금(未支給金) : 상품 이외의 거래에서 발생한 외상채무의 발생액과 소멸액
선수금(先受金) : 상품을 인도하기 전에 미리 받은 상품 대금
선수수익(先受收益) : 차기에 발생한 수익대금을 미리 받은 금액
미지급비용(未支給費用) : 당기에 발생한 비용을 아직 지급하지 않은 금액




[비유동부채(流動負債) : 장기금융부채(長期金融負債)]

장기차입금(長期借入金) : 결산일 기준 1년 이상 만기로 금융기관 등으로부터 차입한 장기부채
사채(社債) : 회사채의 발행으로 인하여 투자주로부터 차입한 장기부채
장기성매입채무(長期性買入債務) : 상거래에서 발생한 결산일 기준 만기 1년 이상의 외상매입금과 지급어음
장기미지급금(長期未支給金) : 상거래 이외에 발생한 결산일 기준 만기 1년 이상의 외상대금 및 어음대금
임대보증금(賃貸保證金) : 건물 등의 임대로 인하여 받은 보증금


[비유동부채(流動負債) : 충당부채(充當負債)]


퇴직급여충당부채(退織給與充當負債) : 전임직원에게 지급할 퇴직금에 해당하는 부채
제품보증충당부채(製品保證充當負債) : 제품보증이행에 충당할 부채
경품충당부채(景品充當負債) : 경품 대금을 지급하기 위하여 충당할 부채
이연법인세부채(移延法人稅負債) : 세법과 회계기준의 차이로 인하여 발생한 미래 회계기간에 납부할 법인세
장기선수금(長期先受金) : 상거래에서 발생한 결산일 기준 1년 이상의 선수금




쉽게 생각했던 '부채'의 계정과목명은 생각보다 쉽지않았다. 이유는 계정과목명이 길어서... 하지만 붉은 색으로 표시한 것을 가장 많이 사용하며, 붉은색으로 표시한 수가 적다는 것이 그나마 위안이 되지 않을까?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