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글('회계 계정과목이란')에서 계정 과목이 무엇인지를 살펴보았다. 이번 글은 계정과목을 크게 '자산', '부채', '자본', '수익' 그리고 '비용'으로 구분하기 때문에 그 중에 하나인 '자산'에 해당하는 '계정과목'을 살펴보려고 한다. 처음 회계를 배울 때 학원 선생님이 이렇게 이야기했다.
이건 꼭 기억하시고 외우시고 자주 보세요!이거 모르면 회계 못 합니다!
되게 단순하고 답답한 논리였지만, 뭐라고 반박을 할 수 없었다.
왜냐면 계정과목이 뭔지도 몰랐고, 표에 익숙하지 않은 회계 용어들이 가득 차 있었기 때문에 왠지 중요해보였다. 하지만 지금은 조금 다르다. 계정 과목은 그냥 한번 읽어보면 된다. 머리가 좋아서 읽어보고 한번에 외울 수 있다면 금상첨화지만, 그렇지 못하다고 해도 문제될건 없다. 그냥 이런게 있구나 정도로 읽어보고 지나가면 된다.
나중에 다른 회계 담당자랑 이야기를 하면서 모르는 계정 과목을 들을 때마다 찾아보면 된다. 그 때 창피함을 느끼기 싫다면 모두 외워두는 것이 좋고, 창피해도 그 순간 하나 하나 배운다고 생각하면 그냥 읽고 넘어가자! (이걸 다 외우겠다고 덤벼들면 회계를 시작하기도 전부터 짜증나고 힘들게 느껴질 것이다)
[유동자산(流動資産) : 당좌자산(當座資産)]
현금(現金) : 통화 및 통화대용증권의 유입액과 유출액을 기입
당좌예금(當座預金) : 당좌예입액과 당좌수표발행액을 기입
현금성 자산(現金性 資産) : 현금화가 용이하고, 가치 변동의 위험이 중요하지 않은 자산
외상 매출금(外上賣出金) : 상품 외상매출액에 대한 채권발생액과 채권소멸액을 기입
받을 어음 : 어음상의 채권 발생액과 채권 소멸액을 기입
단기매매증권(短期賣買證券) : 정기예금, 정기적금, 기업어음(CP), 양도성예금증서(CD) 등
만기보유증권(滿期保有證券) : 결산일 1년 이내 만기의 국채, 공채, 사채권 등
매도가능증권(賣渡可能證券) : 결산일 1년 이내 만기의 주식, 국채, 공채, 사채권 등
단기대여금(短期貸與金) : 결산일 1년 이내 만기의 대여금
미수금(未收金) : 상품 이외의 거래에서 발생한 외상채권의 발생액과 소멸액을 기입
선급금(先給金) : 상품을 인수하기 전에 미리 지급한 상품대금
미수수익(未收收益) : 당기에 발생한 수익대금을 받지 않은 금액
선급비용(先給費用) : 차기에 속하는 비용을 미리 지급한 금액
[유동자산(流動資産) : 재고자산(在庫資産)]
상품(商品) : 판매를 목적으로 매입한 완성품
제품(製品) : 제조기업에서 판매를 목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완성품
반제품(半製品) : 제조기업이 자가제조한 중간 부품 및 부분품
재공품(在工品) : 제품 제조를 위하여 가공중에 있는 재공품
원재료(原材料) : 제품 제조를 위하여 공정에 투입될 원료, 재료, 매입부분품, 미착원재료 등
저장품(貯藏品) : 공장 또는 사무실에서 사용할 목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소모품, 비품, 수선용 부품 등
[비유동자산(非流動資産) : 투자자산(投資資産)]
매도가능증권(賣渡可能證券) : 주식 및 결산일 기준 1년 이상에 회수될 국채, 공채와 예금 및 적금 등
만기보유증권(滿期保有證券) : 결산일 기준 1년 이상의 만기예금 및 적금
지분법적용투자주식(持分法適用投資株式) : 기업이 타사에게 중대한 영향력을 행사하기 위해 보유하는 주식
투자부동산(投資不動産) : 비업무용으로 구입한 장기투자목적의 부동산
장기대여금(長期貸與金) : 결산일 1년 이후 만기의 대여금
[비유동자산(非流動資産) : 유형자산(有形資産)]
토지(土地) : 영업용으로 사용되는 공장, 영업장 등의 토지
건물(建物) : 영업용으로 사용되는 공장, 영업장 등의 건물
기계장치(機械裝置) : 생산 또는 영업 활동에 사용되는 설비인 기계장치 등
건설중인자산(建設중인資産) : 기업 내부에서 사용할 목적으로 건설중인 건물 및 유형자산
기타유형자산(其他有形資産) : 기타유형자산인 차량운반구(차), 비품 등
[비유동자산(非流動資産) : 무형자산(無形資産)]
영업권(營業權) : 다른 기업을 인수합병하는 경우 인수대가에서 순자산액을 차감한 차액
개발비(開發費) : 신제품, 신기술 개발 비용으로 미래의 경제적 효익을 기대할 수 있는 자산
산업재산권(産業財産權) : 특허권, 실용신안권, 지적재산권, 상표권 등 법률로 보호되는 법적 권리
컴퓨터소프트웨어 : 컴퓨터와 관련된 소프트웨어 구입을 위하여 지출된 금액
광업권(鑛業權) : 일정한 광구에서 광물을 채취할 수 있는 권리에 대하여 지출된 금액
어업권(漁業權) : 일정한 수역에서 어로 작업을 할 수 있는 권리에 대하여 지출된 금액
임차권리금(賃借權利金) : 토지, 건물 등을 이용하기 위해 빌리는 경우 임대료, 보증금 외에 별도로 지급한 권리금
저작권(著作權) : 저작권자가 자기의 자작물을 출판, 방송 등을 할 수 있는 권리
[비유동자산(非流動資産) : 기타비유동자산(基他非流動資産) ]
보증금(保證金) : 임차보증금, 전세권, 영업보증금, 전산전화가입권 등
장기매출채권(長期賣出債權) : 결산일로부터 1년 이후인 외상 매출금과 받을 어음
계정과목이 복잡하고 힘들게 느껴질텐데 거기에 추가로 '한문'까지 적어 놓았다고 해서 어렵고 힘들다고 포기할 필요는 없다. 차후 이 부분을 다시 확인할 때 도움을 주기 위해서 '한문'을 추가해 놓은 것이며... 재무제표와 같은 규격화된 양식(표)에서는 대부분 한문을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뜻까지는 몰라도 읽기만 해도 도움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참고로 그래도 어려운 분들을 위해서 자주 사용하는 몇몇 계정과목은 붉은 색으로 표시했다. 물론 재무제표와 같이 1년에 한번씩 보고자료를 만들경우 위에 나열한 것보다 더 많은 계정과목을 나열(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매달 진행하는 월마감 때는 붉은 색으로 표시된 계정과목들이 반복적으로 보여질것이니 우선순위를 두고 공부하겠다고 하면 붉은 색 표시부터 공부하면 된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